2022년 겨울부터 갑자기 오른 전기세로 부담을 많이 느꼈습니다. 한국 전력공사에서 국민의 전기세부담을 줄이기 위해 7월부터 에너지 캐시백 제도를 시행한다고 밝혔습니다. 에너지 캐시백 환급기준 및 신청방법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6월 중순부터 시작된 이른 폭염
한국 전력공사에서는 최근 폭등한 전기요금으로인한 국민들의 가계 부담을 줄이기 위해 7월부터 에너지 캐시백 제도를 시행한다고 밝혔습니다.
이미 지난 2022년 겨울에 정부가 억제하던 전기세가 갑자기 오르면서 국민들의 부담을 덜기위해 올해 1월까지 한차례 시행했습니다.
이번은 갑자기 오른 전기세와 이른 폭염으로 인한 소비량을 대비해 에너지 캐시백 비용이 대폭 인상될 예정입니다.
에너지 캐시백 신청대상
- 주택용(가정용) 고객 중 신청 주소지에 거주하는 것이 확인된 사용자(주민등록표상 구성원)
* 직전 2개년 사용 전력량 중 최소 1개년 사용전력량이 있는 경우 참여가능
- 참여 제외
- 고압아파트 개별세대 사용전력량 정보 미제출 고객
- 신규 전기사용 등으로 직전 1개년 동월분 사용전력량 자료가 없는 고객
- 한전이 시행하는 에너지절약 프로그램 참여 고객
신청방법(온라인 상시)
- 포털 사이트에서 '한전 에너지캐시백'검색하거나 아래를 클릭하여서 한전 에너지캐시백 사이트로 들어갑니다. 신청방법은 간단합니다. 하단에 안내된 회원가입 및 캐시백 신청만 하면 완료됩니다.
* 에너지캐시백 신청절차 안내 동영상
적용시기
신청일이 속하는 월부터 적용(단 23년 6월 7일 ~ 8월 31일 내에 신청한 고객의 캐시백은 23년 7월분 사용량부터 적용)
산정방법
- 절감량(kWh) : 과거 2개년 동일기간 평균 사용량 - 절감활동기간의 사용량
- 절감률(%) : 해당기간 절감량 / 과거 2개년 동일기간 평균 사용량 x 100
- 참여자 평균절감률 : 동일지역 참여자의 해당기간 절감량 합계 / 동일지역 참여자의 과거 2개년 동일기간 평균 사용량 합계 x 100
* 과거 1개년 사용 전력량만 있을 경우 1개년 사용 전력량을 기준으로 산정
지급기준
- 기본 캐시백
최소 절감률 3%와 동일지역 참여자 평균 절감율 이상을 달성할 경우 절감량 1 kWh당 30원을 지급합니다.
- 차등 캐시백
평균절감률과 상관없이 절감률 5% 이상 달성 시 30%를 한도로 절감률 구간별로 1 kWh당 30~70원을 차등 지급합니다.
절감률 | 5%이상 ~ 10%미만 | 10%이상~20%미만 | 20%이상 ~30%alaks |
단가 | 30원/kWh | 50원/kWh | 70원/kWh |
* 24년 1월분부터 차등 캐시백 단가 변경 예정
지급방법
매월 산정된 캐시백은 다음 달 전기요금에서 차감하여 청구됩니다. 단 캐시백 산정기간 중 주소지가 변경되거나, 해당 전기 사용장소에 실거주하지 않은 고객은 캐시백 지급 제외
이상으로 한전에서 시행하는 에너지 캐시백 사업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 지급기준 및 조건 그리고 신청방법이 어렵지 않으니 모두 신청하셔서 혜택 받으시길 바랍니다.
'유용한 글'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군인연금 개혁 시간 문제 (0) | 2023.06.25 |
---|---|
김해 양심치과 광고아님 (0) | 2023.06.22 |
증여세 기한 후 신고 방법 (0) | 2023.06.18 |
소령 50세 정년 연장 문제점 (1) | 2023.06.18 |
2023년 소상공인 온라인 셀러 양성과정 참여 모집 (0) | 2023.06.15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