애드포스트를 약 3년간 운영한 후기를 알려드리면서 수익에 대한 희망을 접은 내용을 설명해 드리려고 합니다. 그동안 나름 소신을 가지고 정보성 글을 약 1000개 이상 발행했지만 콘텐츠에 대한 애드포스트 수익은 사실상 점점 낮아져서 성장을 포기했습니다.
애드포스트
애드포스트는 네이버에서 운영하는 네이버 미디어 3종을 광고 매체로 사용하여 수익을 얻을 수 있는 창작 보상 플랫폼입니다. 창작물에 광고가 게재되고 방문객이 광고를 클릭하거나 구입하게 되면 창작자에게 수수료를 제공하는 보상입니다. 2009년 베타서비스를 시작으로 시작해서 역사는 오래되었지만 실제 유명해지게 된 건 2010년 중반부터입니다.
네이버라는 막강한 노출 시스템과 접근성과 창작의 편의성으로 코로나 기점으로 부업의 한 방법으로 이슈화 되었으나 수년간 운영해 본 결과 미래 자체는 높지 않습니다. 3년간 네이버블로그를 통해 애드포스트를 운영하였고 발행한 글은 늘어나지만 수익은 오히려 줄어들고 있습니다. 이유는 다음과 같습니다.
1. 평균 클릭단가가 점점 낮아집니다.
클릭수와 노출수 클릭률(CTR)등을 노출하는건 애드포스트 정책에 위배되기에 공개하지 않겠습니다. 다만 평균 클릭단가를 계산해 보면 다음과 같습니다.
- 2020년 : 약 191원
- 2021년 : 약 309원
- 2022년 : 약 335원
- 2023년 : 약 201원
동일한 주제를 운영했기때문에 비슷비슷한 광고가 달렸다고 가정하면 CPC는 22년 고점 이후 낮아지고 있습니다.
2. 평균 클릭률은 비슷한 수준을 유지합니다.
- 2020년 : 0.53%
- 2021년 : 0.28%
- 2022년 : 0.26%
- 2023년 : 0.32%
클릭단가가 낮아도 클릭자체가 많이 일어나면 수익이 높아지겠지만 클릭률은 비슷한 수준을 유지합니다.
3. 경쟁이 심해집니다.
코로나와 함께 N잡 시대가 오면서 여러 가지 부업을 병행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배달, 유튜브, 블로그 등등 그중에서 가장 접근하기 쉽고 장소와 시간에 구애받지 않는 게 블로그입니다. 시작하기 쉽다는 건 그만큼 경쟁자가 많아진다는 뜻이 됩니다. 특히 네이버블로그는 한국사람이 좋아하는 쉽게 말해 글쓰기 편한 풀옵션이기 때문에 별다른 기술이 없어도 블로그 글을 적는 게 아주 편하게 되어있습니다. 경쟁이 심해진다는 건 내 블로그에 들어오는 방문객의 수도 줄어드는 이유가 되며 방문객 수 감소는 곧 수익 감소로 이어집니다.
4. 네이버 성장의 한계
코로나덕분에 집에서 할 수 있는 분야 흔히 말하는 언택트 분야가 급성장하면서 카카오와 네이버가 급성장했습니다.
네이버 주가를 보시면 코로나가 심해질수록 주가가 올라가고 완화될수록 주가가 낮아지는 형태입니다. 잘 나갈 때야 애드포스트 유저에게 수익을 나눌 수 있지만 현재는 예전만큼 배분할 수 있는 자본이 있을지 의문입니다. 재무분석을 추가로 보겠습니다.
매출액은 매년 증가하고 있습니다만 매출액 100% 내수입니다. 당기 순이익은 2022년에 전년대비 1/4 수준으로 감소했습니다. 네이버가 내수 100% 매출이라는 점이 성장의 한계성이 있습니다. 지금 검색포털 이용자도 올해 4월부터 구글이 네이버를 넘어서기 시작했습니다.
영상콘텐츠 시대가 오면서 글로만 이루어진 컨텐츠는 힘을 잃어가고 있습니다. 네이버에서도 뒤늦게 영상콘텐츠를 독려하고 있습니다만.. 네이버 TV는 기대만큼 성장하지 못했고 숏폼 크리에이터를 프로모션 하고 있지만 성공가능성은 미지수입니다.
이와 같이 네이버가 국내기반 사업에만 치중한다면 현재 구글과의 경쟁에서 점점 힘을 잃어가는건 예상된 시나리오이며 블로그보다는 영상에 더 투자한다는 건 글로 쓰는 블로그로 버는 애드포스트로 많은 돈을 벌 수 없다는 것입니다. 성장동력이 없습니다.
즉 네이버에서 애드포스트에 투자할만한 여력이 없어지고 있습니다. 신사업에 들어갈 돈도 많은데 창작자들에게 더 많은 돈을 보상해 주기가 어렵다는 것입니다.
최근 챗GPT 등 AI기반 서비스가 이슈화되면서 검색시장이 챗봇 중심으로 옮겨가고 있습니다. 좋은 정보를 걸러내어서 챗봇을 통해 소비자에게 전달하는 기술은 아직 구글에 비해서 뒤처져있습니다.
일단 현재 네이버는 바이럴 및 레퍼럴 마케팅 글이 너무 많습니다. 체험단, 기자단의 폐해라고 할 수 있습니다. 네이버 특성상 네이버플랫폼에서 발행한 정보를 우대하는 편인데 네이버가 챗봇을 개발한 다 고해도 검색노출이 상업성 글이라면 누가 네이버 챗봇을 이용하려고 할까요?
창작에 대한 보상
국내에는 아직 창작자들에게 대한 보상이나 인식이 아직은 제대로 정립되지 않은 것 같습니다. 검색사이트의 핵심은 양질의 정보인데 같이 나아가려면 창작자들에게 그만큼의 보상이 되어야 합니다. 검색사이트의 생명은 양질의 정보인데 적절한 보상이 없다면 힘들게 창작한 것을 무료로 공유하려고 하겠습니까. 남의 글이나 베끼고 챗봇을 이용해서 복붙 발행만 계속될 것입니다.
현재 네이버 애드포스트의 보상 수준과 정책으로는 창작자들이 높은 수익을 얻기 힘듭니다. 저 역시 이제 기대는 버리고 체험단 위주로 돌리고 있습니다. 이상으로 애드포스트 수익 현실과 미래전망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 네이버가 망하지는 않지만 미디어 및 챗봇 등 미래 먹거리 산업에서 경쟁력을 가지지 못하면 다음과 같은 전철을 밟을 수도 있습니다.
애드포스트는 현재 상황에서 크게 권해드리지 않습니다. 그저 글쓰기가 좋고 한 달에 치킨 한 마리, 커피 몇 잔 먹는 값만 나와도 상관이 없다면 부담 없이 하셔도 되지만 디지털 노매드를 꿈꾸시면 애드포스트만으로는 환상에 가깝다는 내용을 알려드립니다.
'블로그 부업'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애드포스트 충격적인 클릭단가 (1) | 2023.08.22 |
---|---|
스토리 크리에이터 수익창출 현실적인 예상 (0) | 2023.08.10 |
블로그 애드센스 전자책 유료강의 사지마라 (2) | 2023.07.27 |
클라우드웨이즈 추천하는 진짜 이유 (0) | 2023.07.08 |
티스토리 추가수익 모델 카카오 정책 기대되지 않은 이유 (1) | 2023.07.06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