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탈모치료

탈모원인 중 하나인 여드름약

by 디노향 2023. 2. 23.
반응형

여드름약 장기복용 한 후에 탈모 오는 사례가 많다는 걸 알고 있으신가요? 카페나 커뮤니티에 보면 여드름약 복용 후 탈모증상을 호소하는 환자들이 종종 볼 수 있습니다. 오늘은 대표적인 여드름약 성분인 이소트레티노인 성분과 탈모 관계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탈모원인 여드름약 썸네일
탈모원인 여드름약

 

이소트레티노인

로아큐탄이라고 아실 겁니다. 1971년 스위스 다슈에서 개발한 여드름 치료제로 엄청 높은 여드름 치료효과로 유명합니다.

국내에는 제로큐탄, 이소티논, 트레인 등의 카피약이 있습니다.

 

원 성분명은 이소트레티노인이며 비타민 A 유도체로 피지분비를 강력하게 억제하여 여드름 치료 대표적인 약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가격도 한알당 약 1000원 정도로 가성비가 좋습니다.

 

여드름 약 부작용

전체적으로 몸에 피지를 말립니다.대표적인 부작용은 피부건조, 점막건조, 비강건조 등 건조해진다는 부작용으로 수분 보충을 충분히 하고 보습을 잘해줘야 합니다.  그리고 기형아 출산 위험으로 가임기 여성은 복용금지입니다.

 

이소트레티노인의 부작용 중 하나가 드물게 : 가역성 탈모증(일부의 경우 지속됨) 가역성은 다시 회복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드물게는 의약품 부작용에서는 1% 미만 확률의 부작용을 의미합니다.

로아큐탄 복용 후 탈모
https://cafe.naver.com/imaban/873044

 

여드름약과 탈모관련실험들

 

이소트레티오니 복용 후 모발 손실(탈모) 이상사례 발생

여드름 환자 30명에게 이소트레티노인 5~7개월을 복용하니 피부피지함유량과 피부수분도가 감소하고 홍반, pH가 증가했습니다. 결정적으로 성장기 모발이 73%에서 71%로 감소했습니다.

 

2011년 ~ 2012년에 시행된 실험에서 여드름 환자와 정상인 비교 시 여드름 환자가 비타민B12 수치가 정상인보다 높았으며 6개월 동안 이소트레티노인 치료 후 여드름 환자의 혈액 상태는 콜레스테롤, 중성지방, ALP, GGT 등 대부분 수치가 증가했고 HDL 콜레스테롤, 비타민B12, 엽산 수치는 감소했습니다.

 

전체적으로 혈관건강에 나쁘게 수치가 변했습니다. 탈모는 혈관건강과도 관계가 깊습니다. 모낭에 영양분은 피가 공급하고 미세혈관을 통해 가기 때문입니다.

 

여드름 치료

여드름 치료에는 다른 약물도 쓰이고 있으며 종류는 다음과 같습니다. 여드름을 치료해야 하지만 탈모가 무섭다면 다른 치료를 먼저 해보시는 게 좋습니다. 외용액이 경구제에 비해 바르는 것도 귀찮고 효과 보기도 어렵지만 안전성은 더 높습니다.

  • 국소도포항생제(클린다마이신, 에리쓰로마이신)
  • 비타민A유도체 외용액(트레티노인, 아답팔렌)
  • 항균제제(벤조일 퍼옥사이드)

결론

여드름약 중 이소트레티노인 성분은 장기 복용 시 탈모의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 일부의견은 가능성이 낮다고 하지만 그 가능성을 뚫고 나에게 탈모가 오면 회복하기 힘듭니다. 장기간 복용에 대해서는 신중하시길 바라며 기형아 출산 위험이 매우 높기 때문에 3개월 이상 약을 끊은 후 임신을 시도하시길 바랍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