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유용한 글

중증장애인 근로자 출퇴근 비용 지원 신청방법

by 디노향 2023. 3. 13.
반응형

올해부터 중증장애인 출퇴근 비용지원 대상을 기존 최저임금 적용 제외 인가자에서 기초, 차상위 중증 장애인 근로자까지 확대하고 지원규모도 15000명으로 확대한다고 합니다.


중증 장애인 출퇴근 교통비 지원장책

사업목적

저소득 중증장애인에게 출근 퇴근 시 소요되는 교통비용을 지원하여 근로의욕 고취와 안정적 직업생활을 유지하게 함

지원내용

  • 중증장애인 근로자에 대해 월 5만 원 출퇴근 교통비 지원(페이백 형식)
  • 버스, 지하철, 택시(장애인콜택시 포함), 자차 유류비 등 지원
  • 전용(U&I) 발급 및 사용하면 공단에서 정산 후 대상자 계좌로 지급, 우리 금융사 홈페이지에서 혹은 정부지원카드 카테고리에서 신청하거나 우리은행지점에서 방문 신청
  • 유류비는 자차, 직계 및 동거가족, 근로지원인 또는 활동지원사 이용자 이외 지원불가
  • 주간 교통비로 사용한 내역만 지원하지만 유류비는 주말 사용분 인정
  • 공단에서 실사용 내용을 정산하여 익월 말까지 대상자 은행 계좌로 지급

지원대상 및 자격조건

  • 장애인고용 촉진 및 직업재활법 상 중증 장애인이며,
  • 고용에 가입한 사람 중에서 중위소득 50% 이하 또는 최저임금적용제외 인가자
  • 최저임금 적용제외 인가자란 최저임금법 제7조에 따라 최저임금 미만을 받는 자
  • 중위소득 50% 이하란 기초생활수급 또는 차상위 계층에 해당하는 자

신청 및 접수기간

  • 접수기간 : 22년 12월 10일부터 23년 연중 상시 접수이며 예산 사정에 따라 조기 마감될 수 있습니다.
  • 신청방법 : 신청서식과 구비서류를 공단에 제출
  • 한국장애인고용공단 장애인직업능력평가포탈 홈페이지(www.hudkead.or.kr) 검색 및 회원가입, 중증 장애인 근로자 출퇴근비용지원 신청 클릭
  • 한국장애인고용공단 지역본부, 지사에 신청서 접수(방문 또는 온라인)
  • 장애인을 다수 고용한 사업장의 경우 관할 지역본부, 지사 사정에 따라 방문설명, 신청가능
  • 신청서류 : 사업신청서, 근로계약서, 신청인 명의의 통장 사본
  • 장애인 증명서 등의 기타 서류는 신청인이 동이하면 행정정보 공동이용을 통해 담당 직원이 확인 가능
  • 출퇴근 비용지원 전용카드 발급, 사용 후 사후 페이백 지급

신청제한

  • 장애인고용촉진 및 직업재활법 제23조에 따라 국가로부터 유사지원금을 중복지급받는 자
  • 사업주 미 장애인 등에 대한 융자 지원 규정의 장애인 근로자 통근용 승합자동차를 이용하고 있는 자

문의처

한국장애인고용공단(1588-1599), 관할지사 연락차 참조
한국장애인고용공단 장애인직업능력평가포탈 홈페이지(www.hudkead.or.kr)

이상으로 중증장애인 교통비 지원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 좋은 복지혜택이니 놓치지 않으시길 바랍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