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블로그 부업

티스토리 운영 시 조심해야할 점(영구제명)

by 디노향 2022. 12. 6.
반응형

티스토리 운영 시 가장 조심해야 할 내용은 바로 카카오 운영규정에 위배되면 로그인 제한이 걸리고 반복되면 영구 로그인 제한에 계정까지 강제 삭제된다는 내용입니다. 그런데 이게 억울하게 당할일도 많기에 알려드리려고 합니다.

티스토리신고
티스토리신고

티스토리 로그인 제한 통보

티스토리는 이제 주체가 카카오로 넘어갔기에 카카오 고객센터로부터 로그인제한 통보를 메일로 받게 됩니다. 티스토리를 오래 운영하신 분이라면 최소 1번 정도는 받아보셨을 겁니다. 사유는 다양합니다. 대표적인 것만 알아보자면 아래와 같습니다.

  1. 계정 대여/판매/양도
  2. 상업적/홍보/광고/악의적 목적 이용
  3. 명의도용
  4. 블로그 대여
  5. 명예훼손
  6. 범죄
  7. 개인정보 수집
  8. 바이러스, 악성코드 게시
  9. 청소년 유해물
  10. 저작권 침해
  11. 관련 법령 위배

일반적으로도 하면 안 되는 사안에 해당합니다. 제가 받은 건 관련 법령 위배인데 이게 참 골치가 아픕니다.

티스토리신고처분

로그인 제한 종류

로그인 제한의 경우 1차/2차/3차로 나누어지는데 차수에 따라서 페널티도 강해집니다.

  1. 1차의 경우 로그인 제한 7일이 걸리고 일수가 차면 자동으로 풀립니다.
  2. 2차의 경우 로그인 제한 30일이 걸리고 일수가 차면 자동으로 풀립니다.
  3. 3차의 경우 로그인 제한 영구 제한이 되고 소명하지 못하면 1년 뒤에 계정이 강제 삭제됩니다.

로그인 제한 해결 방법

  1. 포기하고 기다립니다. 일수가 차면 자동으로 풀립니다.
  2. 카카오 고객센터에 소명 자료를 보냅니다. 

일단 소명 자체가 힘든 게 포스팅 주소까지는 알 수 있는데 내용은 당사자도 못 보게 막아놔서 확인할 수가 없습니다. 카카오에 문의하면 내부규정이라 보여 줄 수가 없다고 합니다. 강력 범죄를 저질러도 증거를 제시하면서 죄를 묻는 건데 이건 뭐 내 회사에서 신고가 들어왔는데 자세한 내용은 내부 규정이라 알 필요 없고 나가라 이 말입니다.

 

2차 규제 때에도 내용을 확인하고 싶었지만 카카오도 해당 포스팅을 못 보여준다. 신고한 해당 기관도 못 알려준다고 하니 정말 답답해서 그냥 한 달 페널티 맞고 말았습니다.

 

그런데 영구 로그인 제한이 되니 이건 뭐 제한이 되더라도 정확한 내용은 알아야겠더군요. 법령은 알고 위반했든 모르고 위반했든 합당한 제한은 받아야 하는 게 맞지만 최소한 위배 내용이 정확히 먼지 알고 법령에 의거해서 설명해줘야 하는 거 아닌가요?

 

제가 걸린 관련 법령 위배는 소명이 힘듭니다. 카카오 고객센터에 소명하는 게 아니라 신고기관에 소명을 보내야 합니다. 관련 신고기관에서 민원은 넣어놨는데 이게 될까 모르겠습니다.

 

티스토리가 왜 운영하기 힘들지 알려드리면

이런 신고에 대해 페널티는 강한데 블로그 당사자는 무방비로 당한다는 것입니다. 물론 1차 2차 맞고 나면 정말 조심하는데 내가 진짜 조심해도 악의로 신고하면 그대로 당할 수도 있다는 것입니다.

 

그래서 처음 블로그를 하실 때는 네이버 블로그로 시작하시는 걸 추천합니다. 네이버는 신고당하면 해당 게시물은 비공개로 전환되고 당사자는 볼 수 있으며 로그인 제한은 없습니다. 너무 상습적으로 위배하면 아이디 정지를 시키기도 하는데 최소한 내가 쓴 글을 확인할 수 있게는 해줍니다. 그래야 다음에 그런 글을 안 적을 수 있습니다.

네이버불법게시물삭제요청
네이버불법게시물삭제요청

티스토리를 운영하는 이유는 딱 하나 애드센스입니다. 애드센스가 네이버 애드포스트보다 수익이 높습니다. 그러다 보니 경쟁도 치열합니다. 서로 신고가 난무합니다. 무효클릭을 일으키기도 하고 생각보다 무서운 세상입니다.

 

티스토리 운영 주체는 신고에 대해 신고당하는 주체가 너무 불리한 구조로 내부규정이 짜여있습니다.

 

티스토리 운영 시 조심해야 할 점

신고당하면 억울하게 당하는 경우가 생길 수 있으니 본인 포스팅은 꼭 따로 백업해두시길 바랍니다. 한글로 저장해 놓든지.. 안 그러면 진짜 억울하게 당할 수 있습니다.

반응형

댓글